
손으로 복부를 누루며 통증 정도 등을 관찰합니다.
혈액검사채혈 후 진단검사의학과에서 혈액분석기 등을 통해 분석한 혈액의 백혈구 수치를 확인합니다.
복부초음파간의 내부 구조, 담낭 및 담관의 구조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고, 통증이나 위험성이 없이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편리한 검사로 급성 혹은 만성 복통, 급성 혹은 만성 간염, 복부 장기의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, 복수, 농양, 담낭염 및 담도염과 결석, 급성 혹은 만성 췌장염, 신장염 및 신장 결석, 정상 및 비정상 임신, 난소 및 나팔관 질환, 골반염, 급성 충수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T촬영128채널 GE-CT는 1초에 약 300개의 단면을 촬영하여 입체적 영상을 구현해주기 때문에 신체 검사부위의 초정밀 진단이 가능하고, 기존의 CT보다 방사선 피폭선량을 최대 80%이상 줄여서 검사할 수 있는 저선량 장비입니다. 복강경센터에서는 췌장염, 신장 질환, 부신 질환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됩니다.
담낭조영술담낭조영제를 이용해 X선으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담도 질환의 진단에 널리 쓰입니다.
담낭 절제술 : 특수 카메라가 부착된 복강경과 비디오 모니터 등을 통해서 레이저 특수외과 전기술 등 특수기구를 이용해 담낭에 있는 여러 종류의 담석을 제거합니다.
충수 절제술 : 충수 돌기염은 수술만이 치료 방법이며, 방치할 경우 심각한 복막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시행하며, 충수돌기를 절제 후 결찰합니다.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심한 유착 등의 이유로 필요에 따라 절개술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 수술 후 조기 보행을 하여야 회복이 빠르고, 장유착 등의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장 절제술 : 장관의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로 난치성궤양, 협착 등의 원인으로 장관에 천공이나 괴사를 초래하였을 때 시행합니다.
위 절제술 및 밴드성형술 : 고도 비만 또는 관련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위의 크기를 제한하거나 위에서 소장으로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 입니다.